본문 바로가기

일상 & 정보/생활정보

청소년이 '자퇴' 검색할때 극단적선택할 위험이 높다는 통계

반응형

반응형

청소년들의 '자퇴'에 대한 인터넷 검색이 자살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연구는 처음으로 청소년들의 검색 패턴과 자살 사망과의 연관성을 규명한 것입니다.

연구팀은 최원석 교수를 비롯해 홍현주 교수 등이 참여하였으며, 2016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국내에서 사망한 13-18세 청소년들의 자살 사망 데이터와 네이버 데이터랩에서 추출한 26개의 자살 및 자해 관련 단어 검색량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여성들과 남성들의 검색 패턴에서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여성들은 자살, 자해, 그리고 자살 위험 인자와 관련된 단어(예: 성적, 학교 폭력 등)들 간 상관성이 높았습니다. 다시 말해서, 여성 청소년들은 자살 관련 단어를 검색할 때 자해 관련 단어도 함께 검색하는 경향이 더욱 두드러졌습니다.

특히, 인터넷 검색량과 자살 사망과의 연관성에서 '자퇴' 검색량이 남성과 여성 청소년, 그리고 전체 인구에서 모두 연관성이 있었습니다. 자퇴 검색량 변화와 실제 청소년 자살 사망 간의 시간 간격은 매우 짧았습니다. 청소년 자살 사망과 검색량 간의 상관성이 가장 높은 시간 간격은 여성과 남성, 전체 인구에서 모두 0일이었습니다.

이에 더하여, 여성 청소년들은 '자해'와 '성적' 관련 검색량이 자살 사망과 연관성을 보였습니다. 전체적으로는 '자해'와 '자살 방법' 검색량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우울' 검색량은 자살과 연관성이 없었는데, 연구팀은 국가 자살 예방 정책의 효과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최원석 교수는 "이번 연구는 국내 인터넷 검색 점유율 1위 데이터를 활용한 것으로 국내 현실을 비교적 정확히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자퇴를 고려하고 있는 국내 학생들에게 자살 사고나 자살 가능성에 대한 사전 평가가 자살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최 교수는 "자살은 10~20대 국내 사망 원인 1위로,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학생들의 우울, 외로움 및 스마트폰, 인터넷 중독과 같은 문제가 늘어나는 등 최근 청소년 정신 건강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반응형